연재글/대학원일기-예전글
[대학원일기] 대학원입학법
수소화물
2011. 12. 7. 08:15
오늘 이야기 들어가겠습니다.
오늘은 대학원에 입학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제가 알려드리는 방법이 전부일 수는 없겠지만 한번 참고할만 할겁니다.
1. 정식적인 방법
자신의 대학교에서 바로 석사과정으로 들어가는 방법입니다.
시험문제 출제경향도 알고 교수님들도 다 알기 때문에 가장 안정적이고
쉬운 방법입니다.
2. 발전적인 방법
대학교를 졸업하고 더 좋다는 대학의 대학원으로 진학하거나 유학을 가는
방법이 있습니다.
생소한 환경에 적응해야하고 원래 그 대학 출신 사람들에 비해 정보도
부족하기 때문에 상당한 어려움을 감수해야 합니다만 합격할 때 느끼는
기쁨은 배가 될 겁니다.
2. 돈도 벌고 대학원도 다니는 방법
대학교를 졸업해서 취업을 한 다음에 파트타임으로 대학원에 진학하는 방법
이 있습니다.
회사를 다니면서 대학원을 다닌다는 이중 부담은 있지만 실제로 풀타임(즉
하루 종일 대학원 실험실에 있는 사람)보다는 대학원 생활이 주는 부담은
적습니다.
반면 졸업하는데 까지 걸리는 시간은 조금 더 오래 걸리지요.
또한 자신이 회사에서 상당히 높은 지위를 가지고 있다면 대학원 생활은
더 쉬워질 수 있습니다.
가끔 풀타임 대학원생이 질시의 눈으로 보는 분들이 바로 이런 분들이죠.
조금 심한 표현을 쓰자면.. 학위(명예)를 위해서 대학원에 오는 분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4. 대학을 나오지 않은 분들이 대학원 가기
방법은 몇가지 있습니다.
4.1 특수대학원 가기
대학에는 특수 대학원들이 꽤 많습니다.
환경대학원, 경영대학원, 산업대학원 등등..
그 특수대학원내에서도 특별과정이 있습니다.
산업정보관리자과정, 관리자과정, 경영관리자과정, 최고관리자과정 등등..
이런 과정들의 대부분은 학력에 상관없이 일정지위 이상을 가지고 있으면
(사실은 돈만 있으면) 입학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수업도 매우 간단한 방식으로 진행되는 편이구요.
국회의원이나 지역단체장 선거에 나오는 사람들이 잘 쓰는 학력 높이는
방법이 바로 이 방법이죠.
하지만 이때도 꼭 지켜야할 수칙은 있습니다.
절대 '졸업'이라는 단어를 사용할 수 없고 '수료'라는 단어만 사용이 가능
하다는 거죠.
4.2. 정식 대학원 가기
이 방법도 자신이 회사에서 어느 정도 지위가 있어야 합니다.
즉 경력이 인정을 받아야 하는 것이죠.
일정 수준의 자격증이 있거나 아니면 방송통신대 등을 통해 대학
졸업이상의 자격을 갖추면 됩니다.
이런 곳들이 꽤 많이 알려져 있기 때문에 찾아보시면 될 듯 합니다.
그리고 그 자격을 갖춘 후 정식 대학원에 경력을 통한 특별전형으로
입학하여서 과정을 마치면 어차피 최종학력만 밝히면 되니 자신의
최종학력은 떳떳한 정식대학원 출신이 되는 겁니다.
하지만... 전 이런 방법들이 마음에 들지 않습니다.
세상 살아가는데 학력이라는 것이 별로 좌우하지 않는 경우가 많고
결국은 학력이 지닌 바 능력이 아닌 명예로만 나타나야 한다면
학력이라는게 굳이 무슨 필요가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하지만 사회 생활을 하시는 분들은 학력 때문에 좌절을 많이 겪으신
다고 하니 서로 다른 삶을 사는 사람들의 견해 차이 일 수도 있겠네요.
오늘은 이정도만 하겠습니다.
다음에는 이메일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그럼 좋은 하루 되시기를...
오늘은 대학원에 입학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제가 알려드리는 방법이 전부일 수는 없겠지만 한번 참고할만 할겁니다.
1. 정식적인 방법
자신의 대학교에서 바로 석사과정으로 들어가는 방법입니다.
시험문제 출제경향도 알고 교수님들도 다 알기 때문에 가장 안정적이고
쉬운 방법입니다.
2. 발전적인 방법
대학교를 졸업하고 더 좋다는 대학의 대학원으로 진학하거나 유학을 가는
방법이 있습니다.
생소한 환경에 적응해야하고 원래 그 대학 출신 사람들에 비해 정보도
부족하기 때문에 상당한 어려움을 감수해야 합니다만 합격할 때 느끼는
기쁨은 배가 될 겁니다.
2. 돈도 벌고 대학원도 다니는 방법
대학교를 졸업해서 취업을 한 다음에 파트타임으로 대학원에 진학하는 방법
이 있습니다.
회사를 다니면서 대학원을 다닌다는 이중 부담은 있지만 실제로 풀타임(즉
하루 종일 대학원 실험실에 있는 사람)보다는 대학원 생활이 주는 부담은
적습니다.
반면 졸업하는데 까지 걸리는 시간은 조금 더 오래 걸리지요.
또한 자신이 회사에서 상당히 높은 지위를 가지고 있다면 대학원 생활은
더 쉬워질 수 있습니다.
가끔 풀타임 대학원생이 질시의 눈으로 보는 분들이 바로 이런 분들이죠.
조금 심한 표현을 쓰자면.. 학위(명예)를 위해서 대학원에 오는 분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4. 대학을 나오지 않은 분들이 대학원 가기
방법은 몇가지 있습니다.
4.1 특수대학원 가기
대학에는 특수 대학원들이 꽤 많습니다.
환경대학원, 경영대학원, 산업대학원 등등..
그 특수대학원내에서도 특별과정이 있습니다.
산업정보관리자과정, 관리자과정, 경영관리자과정, 최고관리자과정 등등..
이런 과정들의 대부분은 학력에 상관없이 일정지위 이상을 가지고 있으면
(사실은 돈만 있으면) 입학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수업도 매우 간단한 방식으로 진행되는 편이구요.
국회의원이나 지역단체장 선거에 나오는 사람들이 잘 쓰는 학력 높이는
방법이 바로 이 방법이죠.
하지만 이때도 꼭 지켜야할 수칙은 있습니다.
절대 '졸업'이라는 단어를 사용할 수 없고 '수료'라는 단어만 사용이 가능
하다는 거죠.
4.2. 정식 대학원 가기
이 방법도 자신이 회사에서 어느 정도 지위가 있어야 합니다.
즉 경력이 인정을 받아야 하는 것이죠.
일정 수준의 자격증이 있거나 아니면 방송통신대 등을 통해 대학
졸업이상의 자격을 갖추면 됩니다.
이런 곳들이 꽤 많이 알려져 있기 때문에 찾아보시면 될 듯 합니다.
그리고 그 자격을 갖춘 후 정식 대학원에 경력을 통한 특별전형으로
입학하여서 과정을 마치면 어차피 최종학력만 밝히면 되니 자신의
최종학력은 떳떳한 정식대학원 출신이 되는 겁니다.
하지만... 전 이런 방법들이 마음에 들지 않습니다.
세상 살아가는데 학력이라는 것이 별로 좌우하지 않는 경우가 많고
결국은 학력이 지닌 바 능력이 아닌 명예로만 나타나야 한다면
학력이라는게 굳이 무슨 필요가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하지만 사회 생활을 하시는 분들은 학력 때문에 좌절을 많이 겪으신
다고 하니 서로 다른 삶을 사는 사람들의 견해 차이 일 수도 있겠네요.
오늘은 이정도만 하겠습니다.
다음에는 이메일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그럼 좋은 하루 되시기를...